안녕하세요! 반도체 시장과 글로벌 경제 이슈를 쉽게 풀어보는 부맘입니다. 😊
2025년 4분기 글로벌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시장에서 대만 TSMC가 더욱 강력한 입지를 다지며 시장 점유율을 확대했습니다. 반면, 삼성전자는 점유율이 하락하며 2위 자리를 지켰지만, 중국 SMIC의 빠른 성장이 위협이 되고 있어요. 오늘은 이 시장의 최신 동향과 삼성전자의 대응 전략,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을 자세히 알아볼게요!
위 이미지는 TSMC와 삼성전자가 주도하는 반도체 파운드리 시장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1. 파운드리가 뭐길래 이렇게 중요한가?
반도체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 설계(팹리스, Fabless): 회로를 설계하는 회사 (예: 애플, 엔비디아, 퀄컴)
✔ 제조(파운드리, Foundry): 설계된 반도체를 실제로 생산하는 회사 (예: 삼성전자, TSMC)
즉, 파운드리는 반도체 생산을 전문으로 하는 사업인데, 첨단 기술력과 거대한 공장이 필요하기 때문에 경쟁이 매우 치열해요.
현재 TSMC(대만)와 삼성전자(한국)가 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었는데, 최근 삼성전자가 점유율을 잃고, 중국 SMIC가 빠르게 성장하면서 2위 자리도 위태로운 상황이에요.
- 2024년 기준,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 규모는 약 1,300억 달러로 추정돼요(TrendForce).
- AI, 5G, 전기차 등 첨단 산업의 성장으로 파운드리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요.
2. 현재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 어떤 상황인가?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2025년 4분기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은 다음과 같아요.
✔ TSMC(대만) 점유율: 67.1% (+2.4%p 상승)
✔ 삼성전자(한국) 점유율: 8.1% (-1%p 하락)
✔ SMIC(중국) 점유율: 5.5% (+성장 중)
TSMC가 여전히 압도적인 1위지만, 삼성전자는 점점 뒤처지고 있고, 중국 SMIC가 그 뒤를 빠르게 쫓고 있어요.
- TSMC의 4분기 매출은 268.5억 달러로, 전년 대비 14.1% 증가했어요.
- 삼성전자는 32.6억 달러로, 1.4% 감소했어요.
- SMIC는 중국 내수 시장 확대와 정부 지원으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어요.
✔ 추가 분석: 시장 성장 요인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은 2025년 4분기에 26% YoY(전년 대비), 9% QoQ(전분기 대비) 매출 성장을 기록했어요.
- AI 수요: AI 서버와 데이터센터용 반도체 수요가 폭증하며 TSMC의 N3, N5 공정 가동률이 100%에 달했어요.
- 스마트폰 회복: 플래그십 스마트폰 수요와 중국 시장 회복이 시장 성장을 견인했어요.
- 성숙 공정 수요: 12인치 웨이퍼 공정 회복이 빨라졌으나, 8인치 공정은 여전히 65~70% 가동률에 머물렀어요.
3. 삼성전자가 점유율을 잃은 이유는?
1️⃣ TSMC – AI 반도체 시장 선점
✔ AI 서버, 최신 스마트폰 칩, 고성능 컴퓨터 칩 등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TSMC가 AI 반도체 시장을 선점했어요.
✔ 특히 엔비디아, 애플 같은 글로벌 IT 기업들이 TSMC에 대량 주문을 넣으며 삼성전자와 격차가 더 벌어졌어요.
- TSMC는 2nm 공정에서 60~70% 수율을 달성하며 2025년 4월부터 주문을 받고 있어요(X 포스트).
- 반면, 삼성전자와 인텔은 2nm 수율이 20~30% 수준에 머물러 기술 격차가 뚜렷해요.
2️⃣ 삼성전자 – 기존 고객사 이탈
✔ 삼성전자는 새로운 고객사를 유치했지만, 기존 주요 고객사(퀄컴, 엔비디아 등)의 주문을 잃으며 매출 감소.
✔ 신규 고객사가 아직 많지 않아 TSMC와 경쟁에서 밀리는 상황.
- 퀄컴은 최신 스냅드래곤 8 엘리트 Gen 2 칩을 TSMC의 3nm ‘N3P’ 공정으로 전량 주문했어요.
3️⃣ 중국 SMIC – 정부 지원으로 급성장
✔ 중국 정부의 강력한 지원으로 SMIC가 빠르게 성장 중.
✔ 생산 능력을 확장하고,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삼성전자의 점유율을 위협.
✔ 미국의 반도체 수출 규제로 인해 첨단 공정에서는 아직 TSMC·삼성전자에 미치지 못하지만, 중국 내수 시장과 일부 저가 반도체 시장을 장악하며 성장 중.
- SMIC는 2022년부터 생산 능력을 29% CAGR로 확장하며 성숙 공정 시장에서 입지를 넓혔어요.
- SMIC의 2024년 3분기 매출은 30% 이상이 삼성 스마트폰 주문에서 발생했어요.
4. 삼성전자의 대응 전략은?
1️⃣ 첨단 공정 기술 개발
✔ 삼성전자는 3나노 공정 기술을 개발하며 TSMC와의 기술 격차를 줄이려고 노력 중.
✔ 하지만 기술력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고객 확보가 중요하기 때문에, 신뢰를 얻기 위한 추가 전략이 필요해요.
- 삼성전자는 미국 팰런티어와 협력해 반도체 수율과 품질 향상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에요(X 포스트).
- 2024년 10월, 독일에서 파운드리 포럼을 열어 자동차 반도체 고객 확보에 나섰어요.
2️⃣ 조직 문화 혁신 필요
✔ 내부적으로 파운드리 사업부의 경직된 조직 문화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어요.
✔ 최근 삼성전자는 사내에서 "파운드리(F)"라는 명칭을 강조하고, 조직 개편을 시도하고 있지만 내부 반발도 존재.
3️⃣ 인재 채용 전략 변화
✔ 삼성전자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파운드리 및 시스템 반도체 사업부 신입 채용을 하지 않았어요.
✔ 미래 성장을 위한 기술 인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지적이 있어요.
- 2024년 9월, 삼성 DS 부문이 정기 채용을 시작했으나, 파운드리 부문은 제외됐어요.
✔ 추가 분석: 삼성의 추가 전략
삼성전자는 점유율 회복을 위해 다양한 전략을 모색 중이에요.
- 생산 시설 확장: 미국 테일러 공장을 2026년 가동 목표로 건설 중이며, 47.4억 달러의 미국 정부 인센티브를 받았어요.
- AI 및 HPC 집중: AI, 고성능 컴퓨팅(HPC), 자동차 반도체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어요.
- 고객 다변화: 스타트업뿐 아니라 대형 고객(테슬라, 퀄컴 등)과의 파트너십 확대를 추진 중이에요.
5. 앞으로 삼성전자는 어떻게 될까?
✅ TSMC는 계속해서 1위 자리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고, SMIC는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더 성장할 것
✅ 삼성전자는 첨단 기술 개발과 고객 확보가 필수적이며, 현재와 같은 조직 운영 방식으로는 어려움이 예상됨
✅ 반도체 시장 경쟁이 더 치열해지면서 삼성전자의 대응 전략이 더욱 중요해질 전망
- TSMC는 2025년 말 2nm 공정 상용화를 앞두고 있어 시장 지배력을 더 강화할 가능성이 높아요.
- SMIC는 2026년까지 LDP 리소그래피 기술로 7nm 공정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어요.
✔ 추가 분석: 시장의 지정학적 리스크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은 지정학적 리스크에도 영향을 받고 있어요.
- 미국 제재: SMIC는 미국의 수출 규제로 첨단 EUV 장비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성숙 공정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어요.
- 대만-중국 긴장: TSMC의 대만 기반 생산 시설은 지정학적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요.
- 한국의 역할: 삼성전자는 지정학적 중립성을 활용해 고객 다변화를 꾀할 기회가 있어요.
6. 결론 – 삼성전자, 2위 자리 지킬 수 있을까?
삼성전자는 여전히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 2위지만, TSMC와의 격차가 더욱 벌어지고 있고, 중국 SMIC의 추격도 빨라지고 있어 2위 자리마저 위태로운 상황이에요.
앞으로 삼성전자가 첨단 반도체 기술 개발, 주요 고객사 확보, 내부 조직 혁신을 성공적으로 추진하지 못하면 2위 자리도 지키기 어려울 가능성이 큽니다.
과연 삼성전자가 반격에 성공할 수 있을까요? 반도체 시장의 경쟁은 계속될 것입니다.
📌 본 글은 매일경제의 “이러다 2위자리도 위태?” TSMC 질주에 中업체는 추격...삼성전자 파운드리 어쩌나 (2025.03.07) 기사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경제연구 > 경제를읽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우자 30억, 자녀 10억까지 상속세 면제! 2028년부터 시행 (5) | 2025.03.13 |
---|---|
사망보험금 유동화 개혁: 2025년부터 연금처럼 미리 받는다! (5) | 2025.03.12 |
금리 인하+규제 완화! 주택담보대출 34% 급증…부동산 시장 변화는? (0) | 2025.03.12 |
한국 사회보험료 10년간 2배 증가: OECD 최고 수준, 해결책은? (0) | 2025.03.11 |
미국 관세 인상, 한국 수출 영향은? 자동차·철강 등 5대 산업 리스크 분석 (2) | 2025.03.11 |